분류 전체보기 (14) 썸네일형 리스트형 22회 사회복지기초(인간행동과 사회환경)-4번 해설 4. 스키너(B. Skinner)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강화계획 중 반응율이 가장 높은 것은 가변비율(variable-ratio) 계획이다. ②정적 강화물의 예시로 음식, 돈, 칭찬 등을 들 수 있다. ③인간행동은 예측가능하며 통제될 수 있다고 본다. ④인간의 창조성과 자아실현을 강조한다. ⑤부적 강화는 바람직한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데 초점을 둔다. 정답④ ※스키너(B. Skinner) 핵심 키워드※ 강화(정적, 부적), 강화계획, 벌, 행동수정(조형=shaping), 타임아웃, 토큰, 행동계약 1) 조작적 조건화의 기본원리와 강화 (1) 개념 쥐가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만을 반복해서 강화함으로써 그 행동이 다시 나타날 가능성을 높여 주는 것이 다. 이 때 강화 받지 않은 행동은 .. 사회복지사 1급 시험: 22회 사회복지기초(인간행동과 사회환경)-3번 해설 3. 문화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문화는 인간집단의 생활양식의 총체로 정의할 수 있다. ②다문화주의는 다양한 문화나 언어를 공유하고 상호 존중하여 적극 수용하려는 입장을 취한다. ③베리(J. Berry)의 이론에서 동화(assimilation)는 자신의 고유문화와 새로운 문화를 모두 존중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④문화는 학습되고 전승되는 특징이 있다. ⑤주류와 비주류 문화 사이의 권력 차이로 차별이 발생할 수 있다. 정답③(동화(assimilation)는 자신의 고유문화와 새로운 문화를 모두 존중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동화는 오히려 자신의 고유문화를 점차적으로 버리고 새로운 문화에 완전히 흡수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베리(J. Berry)의 문화적응 이론※ 1. 1980년대에 .. 사회복지사 1급 시험: 제 22회 사회복지기초(인간행동과 사회환경)-2번 문제 해설 2. 인간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긍정적ㆍ상승적 변화는 발달로 간주하지만, 부정적ㆍ퇴행적 변화는 발달로 보지 않는다. ②순서대로 진행되고 예측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③인간의 전반적 변화를 다루기 때문에 개인차는 중요하지 않다고 본다. ④키ㆍ몸무게 등의 질적 변화와 인지특성ㆍ정서 등의 양적 변화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⑤각 발달단계에서의 발달 속도는 거의 일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답②(인간의 발달은 일정한 순서와 방향성, 연속성이 있어 예측이 가능하다.) ①퇴화도 발달로 본다 ③개인차이가 존재한다. ④키ㆍ몸무게 등: 양적 변화. 인지특성ㆍ정서 등: 질적 변화 ⑤발달의 정도와 속도는 개인마다 다르다. ※발달의 원리: 상.상.개.방.연.결.예.순(암기법) 상호작용 발달(성장)은 개체와 환.. 사회복지사 1급시험: 22회 사회복지기초(인간행동과 사회환경)-1번 문제 1. 인간발달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미친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스키너(B. Skinner) 이론은 행동결정요인으로 인지와 정서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②융(C. Jung) 이론은 중년기 이후의 발달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제공하였다 ③에릭슨(E. Erikson) 이론은 생애주기별 실천개입의 기반을 제공하였다 ④프로이트(S. Freud) 이론은 인간행동의 무의식적 측면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⑤매슬로우(A. Maslow) 이론은 인간의 욕구를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정답 ① 스키너(B. Skinner) 이론은 행동주의적인 관점에서 인간 행동을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이론은 행동에 대한 외부적인 환경적 요인이 행동을 결정한다고 주장하기 때문..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