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4. 스키너(B. Skinner)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강화계획 중 반응율이 가장 높은 것은 가변비율(variable-ratio) 계획이다.
②정적 강화물의 예시로 음식, 돈, 칭찬 등을 들 수 있다.
③인간행동은 예측가능하며 통제될 수 있다고 본다.
④인간의 창조성과 자아실현을 강조한다.
⑤부적 강화는 바람직한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데 초점을 둔다.
정답④
※스키너(B. Skinner) 핵심 키워드※
강화(정적, 부적), 강화계획, 벌, 행동수정(조형=shaping), 타임아웃, 토큰, 행동계약
1) 조작적 조건화의 기본원리와 강화
(1) 개념
쥐가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만을 반복해서 강화함으로써 그 행동이 다시 나타날 가능성을 높여 주는 것이
다. 이 때 강화 받지 않은 행동은 점차 소거가 된다.
(2) 조작적 조건화의 강화. 벌
① 발덴 Ⅱ
분류 | 쾌 자극 | 불쾌 자극 |
제공 | 정적 강화 | 제 1 유형의 벌 |
제거 | 제 2 유형의 벌 | 부적 강화 |
② 정적강화, 부적 강화
정적강화 | 부적강화 |
∙개념 -어떤 행동의 결과에 대해 긍정적인 보상(쾌자극)을 제공함으로서 행동의 빈도가 증가시키 것 ∙예 -숙제를 해온 학생에게 "참잘해어요"라는 스티커를 붙여주었다. |
∙개념 -어떤 싫은 대상물(불쾌자극)을 제거시킴으로써 행동을 증가하게 하는 것 ∙예 숙제를 해온 학생에게 화장실 청소를 면제해 주 었다 |
③ 벌의 유형: 벌은 행동을 감소시키거나 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흔히 벌과 부적강화를 혼동하기 쉽다.
제 1 유형(적극적인 벌) | 제 2 유형(소극적인 벌) |
어떤 싫어하는 것(불쾌, 고통)을 주어서 문제행동 을 감소시키는 방법 |
학습자가 좋아하는 것을 빼앗아 버림으로써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는 방법 |
2) 조작적 조건화의 강화계획
※키워드※
간격-시간, 비율-횟수
(1) 특징
학습초기-계속 강화 필요 | 학습후기-간헐 강화 필요 |
학습 초기에는 바람직한 행동을 보일 때 마다 강 화제 투입 |
때때로 가끔씩 강화제 투입 |
(2) 간헐 강화의 유형
고정간격 |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주어지는 강화 -매 10분마다 강화(ex: 월급, 기말고사, 중간고사) |
변동간격 | ∙일정하지 않은 시간 간격으로 수시로 주어지는 예상 못한 강화 -3분, 5분, 8분 등 변동적으로 주는 강화(ex: 쪽지 시험) |
고정비율 | ∙일정한 반응 수에 따라 주어지는 예상된 강화 -반응횟수가 10회째 마다 주는 강화(ex: 운동화 100켤레 찍을 때 마다 1000원씩) |
변동비율 | ∙반응수에 관계없이 수시로 주어지는 예상하지 못한 강화 -반응횟수 10번째, 7번째, 9번째 등 비고정적으로 주어지는 강화(ex: 노름-언제 짹팟이 터질 줄 모름) |
(3) 강화에 따른 반응
3) 조작적 조건화의 강화인자
(1) 물질적 강화 인자 | ∙실제 대상물로써 음식과 장난감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다른 강화 인자가 효과가 없을 때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한다. |
(2) 사회적 강화 인자 | ∙긍정적 배려를 전하는 것으로 교사의 관심, 인정, 칭찬이 대표적이다. |
(3) 활동 강화 인자 | ∙좋아하는 활동을 하는 기회를 주는 것으로 Premack 원리가 대표적이다. -Premack 원리: 행동빈도가 낮은 행동을 행동빈도를 높이기 위해 행동 빈도가 높은 강화물을 제공하는 것 -Premack 원리 예; 케임을 좋아함, 수학문제 풀기 싫어함. 이런 학생에게 수학문제를 다 풀면 네가 좋아하는 게임을 1시간 더 할 수 있도록 해준다. |
(4) 내적 강화 인자 | ∙개인들의 어떤 외적 강화인자 때문이 아니라 그런 반응이 가져오는 내적 느낌 때문에 어떤 반응을 행하는 것 ∙예: 어려운 수학문제를 푼 다음 느끼는 성공감 |
(5) 긍정적 피드백 | 행동 개선, 학업기능 활성화 위해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면 성공감, 능력감, 정복감, 긍지 등을 가지게 된다. |
4) 행동수정기법①
행동을 증가시키기 | 행동을 감소시키는 방법 | ||
(1)조형(Shaping) | <순서> ① 표적행동을 선택하기 ② 신뢰로운 기준선 자료를 획득하기 ③ 유력한 강화인자를 선택하기 ④ 바라는 행동의 점진적으로 일어날 때마다 강화하기 ⑤ 새로이 형성된 행동이 일어날 때마다 강화하기 ⑥ 행동을 변동강화 스케줄로 강화하기 |
(1) 소거 | 이전에 강화를 받아왔던 행동의 강화인자를 중단하거나 또는 철회하는 절차 |
(2)모델링 |
∙관찰과 모방의 과정을 통한 학습은 인간학습의 가장 보편적인 형태 ∙관찰학습, 금지 또는 탈금지, 반응 촉진 등의 효과 |
(2)타임아웃 | 강화를 받는 장면으로부터 특정의 제한된 기간 동안 격리(강화를 받지 못하는 장면으로 이동)시키는 기법이다.(활동적인 아동, 공격적인 아동, 집단 지향적인 아동에게 효과적). 타임아웃 시간은 조용히 한 후 대략 2분 정도, 최대4~5분, 10분을 넘겨서는 안 된다. ※부적합한 장소 -복도나 교무실과 같은 공개된 곳 ※적합한 장소 ∙왕래가 많은 곳으로부터 떨어진 곳 ∙출입문과 창문으로부터 떨어진 곳 ∙다른 아동들이 볼 수 없는 곳 ∙관찰자-감독자가 볼 수 있는 곳 |
(3)행동계약 | ∙학습계약 :교사와 학습자가 어떠한 행동을 어떻게 얼마나 할 것이며, 성공적으로 수행한 행동에 대하여 어떠한 보상을 주기로 계약을 맺고 그대로 시행하는 방법 |
(3)심적포화 | 한계효용의 법칙을 이용한 방법이다. 즉, 싫증이 날 때까지 실컷 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
(4)토큰(token) 강화 | ∙어떤 바람직한 행동에 대해서는 이 상표를 주고 일정한 숫자의 상표가 모이면 이를 먹는 것, 노는 것, 어디에 가는 것 등과 같은 다른 강화자극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특수학급이나 정신병원 같은 곳에서 성공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방법 | (4)양립할 수 없는 행동의 강화 | 표적행동과 정반대의 또는 양립할 수 없는 행동을 체계적으로 강화함으로써 행동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