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4)
22회 사회복지기초(인간행동과 사회환경)-5번 해설 5. 학자와 주요개념의 연결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로저스(C. Rogers) - 자기실현 경향성 ㄴ. 벡(A. Beck) - 비합리적인 신념 ㄷ. 반두라(A. Bandura) - 행동조성 ㄹ. 아들러(A. Adler) - 집단무의식 ① ㄱ ② ㄱ, ㄴ ③ ㄴ, ㄷ ④ ㄱ,ㄴ,ㄷ ⑤ ㄴ,ㄷ, ㄹ 정답 ① ㄱ, 로저스(C. Rogers)-인간중심 상담: 8번문제에서 상세 설명 ㄴ. 벡(A. Beck)-자동적 사고 ※비합리적인 신념-Ellis ㄷ. 반두라(A. Bandura) - 관찰학습, 모방: 10번에서 상세 설명 ※행동조성-Skinner ㄹ. 아들러(A. Adler) - 생활양식: 6번에서 상세히 설명 ※집단무의식-Jung: 9번문제에서 상세히 설명 ※벡(A. Beck)의 인지치료(Cogn..
22회 사회복지기초(인간행동과 사회환경)-4번 해설 4. 스키너(B. Skinner)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강화계획 중 반응율이 가장 높은 것은 가변비율(variable-ratio) 계획이다. ②정적 강화물의 예시로 음식, 돈, 칭찬 등을 들 수 있다. ③인간행동은 예측가능하며 통제될 수 있다고 본다. ④인간의 창조성과 자아실현을 강조한다. ⑤부적 강화는 바람직한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데 초점을 둔다. 정답④ ※스키너(B. Skinner) 핵심 키워드※ 강화(정적, 부적), 강화계획, 벌, 행동수정(조형=shaping), 타임아웃, 토큰, 행동계약 1) 조작적 조건화의 기본원리와 강화 (1) 개념 쥐가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만을 반복해서 강화함으로써 그 행동이 다시 나타날 가능성을 높여 주는 것이 다. 이 때 강화 받지 않은 행동은 ..
사회복지사 1급 시험: 22회 사회복지기초(인간행동과 사회환경)-3번 해설 3. 문화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문화는 인간집단의 생활양식의 총체로 정의할 수 있다. ②다문화주의는 다양한 문화나 언어를 공유하고 상호 존중하여 적극 수용하려는 입장을 취한다. ③베리(J. Berry)의 이론에서 동화(assimilation)는 자신의 고유문화와 새로운 문화를 모두 존중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④문화는 학습되고 전승되는 특징이 있다. ⑤주류와 비주류 문화 사이의 권력 차이로 차별이 발생할 수 있다. 정답③(동화(assimilation)는 자신의 고유문화와 새로운 문화를 모두 존중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동화는 오히려 자신의 고유문화를 점차적으로 버리고 새로운 문화에 완전히 흡수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베리(J. Berry)의 문화적응 이론※ 1. 1980년대에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