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방어기제와 그 예시로 옳지 않은 것은?
①합리화(rationalization): 지원한 회사에 불합격한 후 그냥 한번 지원해본 것이며 합격했어도 다니지 않았을것이라 생각한다.
②억압(repression): 시험을 망친 후 성적발표 날짜를 아예 잊어버린다.
③투사(projection): 자신이 싫어하는 직장 상사에 대해서 상사가 자기를 싫어하기 때문에 사이가 나쁘다고 여긴다.
④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관심이 가는 이성에게 오히려 짓궂은 말을 하게 된다.
⑤전치(displacement): 낮은 성적을 받은 이유를 교수가 중요치 않은 문제만 출제한 탓이라 여긴다.
정답⑤(투사형 합리화)
※투사형 합리화※
1. 정의 자신이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감정이나 생각을 다른 사람에게 투사하고, 그 사람을 비난함으로써 스스로를 보호하려는 방어기제. 즉,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다른 사람에게 덮어씌우고, 그 사람을 공격함으로써 자신의 불안이나 죄책감을 줄이려는 행동 2. 예 자신이 게으르다는 것을 인정하기 어려운 사람이 다른 사람을 게으르다고 비난 자신이 불안하다는 것을 숨기기 위해 다른 사람을 불안하게 만드는 행동함 자신이 부모에게 화가 난다는 것을 인정하기 어려운 아이가 친구에게 화를 냄 자신이 실수를 했다는 것을 인정하기 어려운 사람이 다른 사람의 실수를 과도하게 비판함 |
※방어기제※
의미
-심리적으로 극복하기 어려운 현실에 당면하여 직접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현실을 왜곡시 켜 심리적 평형을 찾고자 하는 무의식적 책략
2. 종류
1) 보상
(1) 정의
-자신의 욕구충족이 자신의 결함으로 방해를 받은 때 그 결함을 다른 것으로 대치시켜 자 신의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열등감으로부터 벗어나려는 행위
(2) 예
공부를 못하는 아이가 운동을 잘한다.
2) 합리화
(1) 정의
- 그럴 듯한 이유(합리적인 이유)를 들어 정서적인 불안이나 당면하고 있는 난처한 입장이 나 결점 등을 은폐함으로써 사회적으로 용인 받으려는 행동
(2) 예-여우의 신포도, 달콤한 레몬
이솝우화에 나오는 “여우와 포도”처럼, 포도를 따먹으려 했으나 실패하고 나서 하는 말 이 “저 포도는 시어서 따지 않겠다.”고 변명하는 경우.
3) 투사
(1) 정의
-자기의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자기의 것으로 된 듯이 행동하거나 평소에 저렇게 되어 보았으면 하고 원하던 사람이 된 것처럼 행동하는 것
(2) 예
모 국회의원이 나와 중학 동창이라고 우쭐대는 경우
4) 승화
(1) 정의
-곤란한 문제 또는 불만을 오히려 극복하고 사회적으로 승인되는 가치 있고 윤리적인 행 동으로 대치하여 사회적 인정을 받음으로써 정신적 갈등이나 불만을 해소하려는 행위
(2) 예
늙은 노총각이 연애에 실패했을 경우 그 아픔을 달래기 위해서 다른 방향에서 위대한 예술 가가 되거나 박사학위를 취득해서 명예를 추구하는 행위
5) 전치(=전위=치환)
(1) 정의
-본능적 충동의 표현을 재조정해서 위험을 덜어 주는 상태로 대처하는 행동기제. 즉, 원초아(id)의 위협적 충동은 표현하되 초자아(superego)가 문제삼지 않는 다른 목표로 바꾸는 것.
(2) 예
아내와 싸운 교장이 학교에서 교사에게 분풀이하는 경우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서 눈 흘기는 것
6) 반동형성
(1) 정의
-자기가 바라고 느끼는 것과는 정반대로 감정을 표현하고 행동하는 것
(2) 예
경쟁자를 지나치게 칭찬하는 경우
7) 퇴행
(1) 정의
-유아 시절의 감정, 생활태도로 되돌아가서 현실의 어려운 과제로부터 도피하여 욕구를 충족시키는 기제
(2) 예
평소 말을 잘하던 아이가 동생이 생겼을 때 말을 못하고 어리광을 부리는 경우